콜백 함수는 다른 함수에 인자로 전달되어, 어떤 이벤트나 특정 조건에서 실행되게 되는 함수를 말합니다. 콜백 함수는 주로 비동기 작업이나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에 어떤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
쉽게 말하면 콜백 함수는 직접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함수에 의해 호출되는 함수입니다. 함수를 호출할 때에는 함수를 입력 단자로 전달하고 호출 받은 함수에서는 전달 받은 함수를 호출하여 사용합니다. 실제 예시들을 통해 익혀 보겠습니다!
callback_fun(func())이 아닌 callback_fun(func)을 사용함을 통해 func함수가 아닌 func으로 입력하여 입력 단자를 입력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람다 함수는 파이썬에서 익명의 간단한 함수를 생성하기 위한 특별한 구문입니다. "익명의 함수"라는 것은 함수에 고유한 이름이 지정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람다 함수는 일반적인 함수(def를 사용하여 정의)와는 달리, 한 줄로 표현되는 짧고 간결한 함수를 생성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람다 함수는 보다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가독성이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람다가 사용되는 함수들에서 익혀보겠습니다.
filter()는 파이썬의 내장 함수로, 주어진 함수의 조건을 만족하는 항목만으로 이루어진 이터레이터를 반환합니다. 이 함수는 주로 리스트나 다른 순차적인 데이터 타입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항목들만을 필터링할 때 사용됩니다.
람다 함수를 사용한 경우입니다.
map()는 파이썬의 내장 함수로, 주어진 함수를 이터러블의 모든 항목에 적용하여 결과를 반환하는 이터레이터를 생성합니다. 이 함수는 주로 리스트나 다른 순차적인 데이터 타입의 항목 각각에 함수를 적용할 때 사용됩니다.
이상으로 콜백함수와 람다함수에 대해서 익혔습니다.
콜백함수는 나중에도 많이 쓰이는 개념으로 제대로 익히고 넘어갑시다!
Python 16. 상속 (0) | 2024.03.20 |
---|---|
Python 15. 객체 지향과 클래스 (0) | 2024.03.20 |
Python 13. 변수의 범위! (2) | 2024.03.19 |
Python 12. 사용자 정의 함수 (0) | 2024.03.15 |
Python 11. 컬렉션과 반복문 (0) | 2024.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