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파이썬을 이용해 파일을 여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 파일을 여는 방법은 두 가지인데 파일을 쓰는 방식, 파일을 읽는 방식입니다. 파일을 쓴다는 것은 파일에 입력하는 것을 말하고 파일을 입력한다는 것은 입력된 파일을 출력한다는 것입니다.
파일을 열려면 open 함수를 사용합니다.(입출력 모두)
```
f = open('파일명', "모드") # 모드는 읽기 쓰기 두 가지입니다.
```
파일명: 열고자 하는 파일의 이름이나 경로 모드: 파일을 어떻게 열 것인지를 지정
r: 읽기 모드 (기본값) (입력)
w: 쓰기 모드 (파일이 있으면 덮어쓰기) (출력)
a: 추가 모드 (파일의 끝에 내용을 추가) (append)
b: 바이너리 모드 (텍스트가 아닌 바이너리 데이터를 읽고/쓸 때 사용/ 붙여서 사용)
+: 읽기와 쓰기 모드
이번엔 파일 쓰는 코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텍스트에 저장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텍스트에 저장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lose()를 이용하지 않으면 저장이 되지 않습니다.
.close()를 이용하지 않고도 파일을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 with문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with문을 이용하면 자동으로 파일을 닫아서 저장해줍니다.
파이썬의 with 문을 사용하면 파일을 열고 작업을 수행한 후 자동으로 파일을 닫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break는 while문의 무한 루프를 마치게 해줍니다.
입력을 이용하여 파일을 썼으면 출력하는 방법도 알아야겠죠??
위에서 만들었던 example.txt를 open()을 이용해서 불러오겠습니다.
파일을 읽을 때에는 모드를 'r'로 설정합니다.
모든 텍스트가 아닌 출력할 텍스트의 갯수를 제한해서 불러올 수도 있습니다.
한 줄씩 읽는 readline()메소드도 있습니다.
마지막에 줄바꿈 코드가 지저분하니 replace를 이용해서 지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일 입출력 중에는 여러 가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 파일이 존재하지 않음). 이를 위해 try-except 블록을 사용해 오류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오류가 발생할 때 파일 입출력을 사용하는 구문까지 다루어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오늘 다루었던 입출력을 이용한 문제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Python 22. 변수 타입 어노테이션 (0) | 2024.03.22 |
---|---|
Python 21. 단어장! (0) | 2024.03.22 |
Python 18. 예외 처리 (0) | 2024.03.21 |
Python 17. Special method (0) | 2024.03.20 |
Python 16. 상속 (0) | 2024.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