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울 때 변수가 중요합니다.
파이썬에서는 변수 지정을 '='을 이용하여 정확한 개념을 잡기 힘들 수 있습니다.
R에서는 변수 할당을 <-을 이용하여 ←을 이용하여서 더 이해하기 쉽습니다. 쉽게 말해 변수는 저장 공간(방)으로 생각하여 값을 변수에 저장하는 개념인 것입니다.
정확한 개념을 통해 알아봅시다!
변수는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변수는 이름이 붙은 메모리 공간으로, 값을 저장하거나 참조할 때 사용됩니다.
변수 선언 : 변수를 사용하기 전에 해당 변수의 이름을 정하고, 그 이름을 사용해 변수를 선언합니다.
값 할당 :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 등호(=)를 사용합니다. 오른쪽의 값을 왼쪽의 변수에 저장합니다.
값 참조 : 변수에 저장된 값을 읽거나 사용할 때는 해당 변수의 이름을 사용하여 값을 참조합니다.
변수 타입 추론 : 파이썬은 동적 타이핑 언어로, 변수를 선언할 때 변수 타입을 명시적으로 지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파이썬은 할당된 값의 형태에 따라 변수의 타입을 추론합니다.
파이썬은 동적 타이핑(dynamic typing) 언어로, 변수의 타입을 선언할 필요 없이 값을 할당할 때 자동으로 타입을 추론합니다. 이는 프로그래머가 변수의 타입을 직접 명시할 필요 없이 더 유연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그렇지만 이로 인해 잘못된 타입의 값이 변수에 할당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변수를 삭제하기 위해 del 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el 문은 지정된 변수를 제거하고 해당 메모리 공간을 해제합니다. 변수가 삭제되면 해당 이름으로 변수에 더 이상 접근할 수 없습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del 문을 사용하여 변수를 삭제할 때 해당 변수에 연결된 메모리가 해제되지만, 변수가 참조하던 값 자체는 삭제되지 않습니다. 값이 다른 변수에 여전히 참조되고 있는 경우에는 삭제되지 않습니다.
설명을 덧붙이자면
name1 <- '김사과"
name2 <- 'name1'
인데 여기서 del name1 즉 변수 name1을 삭제하면 name1이라는 방만 사라진다는 것입니다. '김사과' 의 값은 사라지지 않고 name2가 참조하는 값으로 여전히 남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name2를 출력하면 김사과가 출력되는 것입니다.
변수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짚고 넘어갑시다!
Python 04. Collection Type(List) (0) | 2024.03.13 |
---|---|
Python 03. 문자열 (1) | 2024.03.12 |
Python 01. print함수 (0) | 2024.03.12 |
모두가 사용하는 Python(?) (0) | 2024.03.11 |
첫걸음..(구글 코랩) (0) | 2024.03.11 |